RLO EDGE 탐지 학습
RLO 에지 탐지 로직에 대해 학습한다.
상세 설명은 생략하고 내가 배운 점이 있는 부분만 요약한다.
S7-300의 -(P)-, -(N)-과 S7-1500의 -(P)-,-(N)-은 차이점이 생겼다.
중요한 것은 Tag_M이 과거에는 한 렁 안에 들어있지 않았는데 지금은 한 렁 내의 아래에 넣을 수 있다.
S7-300
위 테스트 예시와 같이 RLO가 0->1이 되면 (P)는 1스캔 동안 ON되고 OFF되지만 Memory Bit는 RLO가 1로 유지되는 동안 ON 되었던 결과를 남길 수 있다. 다만, RLO가 0 이 되면 메모리 비트 역시 해제된다.
(N)는 위와 반대로 RLO(논리연산결과)가 1->0이 되면 1스캔 동안 ON되고 OFF되며 Memory Bit도 동일하게 작동한다.
Comments
Post a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