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LO EDGE 탐지 학습

RLO 에지 탐지 로직에 대해 학습한다.

상세 설명은 생략하고 내가 배운 점이 있는 부분만 요약한다.

S7-300의 -(P)-, -(N)-과 S7-1500의 -(P)-,-(N)-은 차이점이 생겼다.

중요한 것은 Tag_M이 과거에는 한 렁 안에 들어있지 않았는데 지금은 한 렁 내의 아래에 넣을 수 있다.

S7-300 


S-1500


S7-1500 테스트 사례

초기 상태

input0이 1이되면 상승 엣지 펄스 생성되어 tag_4가 1->0이 되고 mem0가 1이 된다.

input0이 off되면 tag_4는 1펄스만 on되었지만 그 아래에서 자기 유지를 통해 output0의 출력이 활성화된다. 이때는 input0이 0이 되면서 RLO가 1->0이 되므로 mem0도 false가 된다.

이후 리셋 버튼을 누르면 output0도 off된다. (자기 유지 해제)

리셋버튼 누른 것을 떼면 초기 상태로 돌아간다.





위 테스트 예시와 같이 RLO가 0->1이 되면 (P)는 1스캔 동안 ON되고 OFF되지만 Memory Bit는 RLO가 1로 유지되는 동안 ON 되었던 결과를 남길 수 있다. 다만, RLO가 0 이 되면 메모리 비트 역시 해제된다.
(N)는 위와 반대로 RLO(논리연산결과)가 1->0이 되면 1스캔 동안 ON되고 OFF되며 Memory Bit도 동일하게 작동한다.






Comments

Popular posts from this blog

KEPWARE datalogger plug-in 에러 관련 팁